게임

배틀그라운드 그래픽설정 프레임 향상 엔비디아 그래픽설정하기

2018. 7. 28. 23:36
반응형
오늘은 배틀그라운드 그래픽설정 최적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. 그래픽 설정은 사양별로 설정해야하는 값이 다르고 본인에게 맞는 세팅을 찾는게 중요하지만, 번거로워보이기만 합니다.


그래서 오늘은 '이정도면 보통은 간다' 는 그래픽 설정값을 가지고 왔습니다. 제가 알려드리는 대로 설정 하신 후, 입맛 또는 사양에 맞게 조절하시면 되겠습니다.


*본 글의 설정은 '배틀그라운드를 어느정도 돌릴 수 있는 컴퓨터' 에서 프레임 향상을 위한 설정 입니다.
그래픽 설정의 목적은 게임의 성능을 최적화시켜서 그래픽 품질과 성능을 둘 다 만족시키는 것인데요, 그래픽 설정을 하기 전에, 배틀그라운드 실행파일을 간단하게 수정하여 프레임을 조금 높이는 작업을 먼저 해주셔야합니다.

여러 커뮤니티에서 5~15 프레임의 상승을 불러온 설정인데요, 30~40 프레임이 나오던 컴퓨터에서 무려 50~55 프레임까지 상승했다고 합니다. 


윈도우 10 설정

1)배틀그라운드 설치 폴더에 들어갑니다. 스팀 배틀그라운드의 경로는 C:Program Files (x86) \Steam\steamapps\common\PUBG\TslGame\Binaries\Win64\TslGame.exe 입니다.

카카오 배틀그라운드는 내PC\C:Daum Games\PUBG\TslGame\Binaries\Win64\TslGame.exe 입니다.
컴퓨터에 따라 다를 순 있는데요, steamapps 폴더나 Daum Games를 찾으시면 그 다음은 컴퓨터에 상관없이 동일한 경로입니다.


2) Tslgame.exe 우클릭 후 속성
 




3)상단 호환성 탭 클릭 후 높은 DPI설정 변경 클릭

 



4)높은 DPI 조정 동작을 재정의합니다 체크 후 확인



이렇게 배틀그라운드 그래픽 설정 전 작업이 완료되었습니다. 그 다음 NVIDIA 그래픽설정이 필요합니다. 
 

Nvidia 엔비디아 그래픽설정

1)바탕화면 우 클릭 후 Nvidia 제어판을 클릭합니다. 여기에 보이지 않는다면 제어판에 Nvidia 제어판이 있습니다.


2)엔비디아 제어판에서 왼쪽 탭에 미리보기로 이미지 설정 조정 탭에서 다음과 같이 체크 후 적용을 클릭합니다. 

저사양 컴퓨터에서는 '다음 사항을 강조하는 기본설정 사용(M) 을 체크한 후 성능 쪽으로 바를 옮겨 적용해주시면 됩니다.

 
3)왼쪽 탭에서 3D 설정 관리로 들어가 주신 뒤 '프로그램' 탭을 클릭해 줍니다. 여기서 '전역 설정' 은 단일 프로그램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이 아닌 컴퓨터의 기본 그래픽 설정을 하는 것인데요.



지금 설정하려는 것은 배틀그라운드 전용 설정이기때문에 '프로그램 설정' 을 클릭해 줍니다. 컴퓨터로 게임을 자주 하신다면 전역설정으로 설정하셔도 큰 무리는 없으실 것 같습니다.



4)프로그램 선택에서 '추가' 를  클릭합니다.



5)그다음 최근 사용함에 TslGame 을 클릭해주세요. 배틀그라운드의 실행파일입니다. 카카오, 스팀배틀그라운드 중 하나만 변경하면 둘 다 적용되더군요.



6) 자 이제 그래픽 설정을 할 차례입니다. 하나하나 차근차근 설명드리겠습니다.


각 명칭에 대한 설명

CUDA - GPU / 전역 설정 사용(모두) : 쿠다라는 것은 엔비디아 사에서 개발한 GPU(그래픽) 기술입니다. 그래픽 카드의 성능을 최대로 이끌어 내기위한 설정입니다. '모두' 로 설정해주시면 됩니다.

OpenGL 렌더링 CPU / 현재 그래픽카드 로 선택 : 크게 중요하지는 않은 옵션입니다. 이 옵션은 보통 게임을 제작하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옵션입니다. 그냥 자동선택으로 하시거나, 현재 그래픽 카드로 설정하시면 됩니다.

가상 현실 사전 렌더링 프레임 / 전역 설정 사용 (1) : VR 전용 설정입니다. VR을 사용하지 않음으로 1로 설정해두시면 됩니다. 
*게이밍 모니터를 사용하시는 경우 기본 재생 빈도 란이 있는데, 모니터가 지원하는 최고값으로 설정해 두시면 됩니다.

다중 프레임 샘플링 AA (MFAA) / 끄기 : 이 옵션은 적은 부하로 높은 품질을 보여주는 안티앨리어싱 옵션인데요, 그냥 꺼 놓으셔도 무방합니다. 

수직 동기 / 끄기 : 그래픽카드의 프레임과 모니터의 프레임을 맞춰주는 기능인데요, 화면 끊김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니 '끄기' 로 해 놓습니다. 프레임의 변화가 심한 게임에서는 추천하지 않습니다.

삼중 버퍼링 / 끄기 : 수직 동기화와 한쌍으로 움직이는 옵션입니다. 둘 다 '끄기'에 놓으시면 됩니다. 
 
쉐이더 캐시 / 켜기 : SSD를 이용해 CPU의 부하를 줄여주는 옵션입니다. SSD 하드를 장착하고 있는데 CPU 사용량이 높게나온다면 켜기를 추천드립니다. 제 생각에는 직접 켰다 껐다 하면서 성능을 테스트 해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.

스레드 최적화 / 켜기 : CPU를 최적화시켜주는 옵션입니다. 요즘엔 거의 듀얼 코어 이상의 CPU를 사용하고 있으므로, 켜주시는게 성능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.

안티 앨리어싱 - 모드 / 응용 프로그램 제어 : 배틀그라운드 환경설정 내에서 설정이 가능한 부분이기 때문에, 응용프로그램 제어로 해놓고 게임 내에서 설정합니다. 

안티 앨리어싱 - 설정 / 응용 프로그램 제어 : 계단현상을 완화시켜주고, 라인이 매끄러워집니다. 

안티 앨리어싱 - 투명도 / 끄기 : 물체를 약간 뭉개지도록 만들어 부드럽게 보이게 합니다. 배틀그라운드에서는 선명하게 보여야 하기때문에 끄기로 해 놓는 것이 좋습니다.

안티 앨리어싱 - 감마교정 / 끄기 : 색감을 더 좋게 해줍니다. 하지만 지포스 익스피리언스 내에서 색감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꺼줍니다.

안티 앨리어싱 - FXAA / 끄기 : 모서리를 약간 매끄럽게 해주는데 미세한 차이이므로 꺼줍니다.

앰비언트 오클루전 설정은 그림자 관련 옵션인데요, 배틀그라운드는 지원하지 않네요. 


이방성 필터링 / 16x : 멀리 있는 텍스쳐를 깔끔하게 보여주는 기능입니다. 프레임 드랍은 작으면서 효과가 좋기때문에, 성능에 따라 적용해주시면 됩니다. 가장 높게 해놓고 점점 낮춰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. 그만큼 사양을 많이 타지 않습니다. 


전원 관리 모드 / 최고 성능 선호 : 전원을 항상 풀로 사용합니다. 프레임의 변화가 크고 컴퓨터의 부하를 요구하기때문에, 안정적인 전원관리는 성능에 직결됨으로, 최고 성능선호를 선택합니다. 


최대 사전 렌더링 프레임 / 2~4 사이 : CPU가 그래픽카드를 도와주는 옵션입니다. 자신의 CPU 성능이 여유가 있다면 높게 설정해주시면 그래픽 카드의 부하를 줄일 수 있습니다. 저는 적당히 3을 선택했습니다. 2~4 사이의 값을 선택해주시면 됩니다. 


텍스처 필터링 - 삼선형 최적화 / 켜기 : 텍스처 표시방법에는 이선형과 삼선형이 있는데요, 삼선형이 필요하지 않으면 이선형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성능을 내는 옵션입니다. '켜기'를 추천합니다. 


텍스처 필터링 - 음성 LOD 바이어스 / 클램프 : 그래픽 품질의 향상 옵션입니다. 클램프를 선택해주세요. 


텍스처 필터링 - 이방성 샘플 최적화 / 끄기 : 이 옵션을 켜면 멀리있는 물체가 뭉개지는 것처럼 흐리게 보이게되기 때문에 끄는 것을 추천드립니다. 


텍스처 필터링 - 품질 / 고성능 : 텍스처 필터링의 전체적인 품질을 결정합니다. 고성능으로 하셔도 큰 차이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. 성능에 집중할 수 있도록 '고성능'을 선택합니다.

마무리

이정도 까지만 하셔도 배틀그라운드 최적화 설정이 어느정도 되셨을 겁니다. 이 설정은 공통 설정입니다. 그 다음 게임 내에서의 옵션을 설정해주셔야 하는데요, 익스피리언스로 색감을 조정하는 글에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. 


궁금하신 점은 댓글로 달아주시면 제가 알고있는 선에서 최대한으로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. 


-연관 글-

2018/07/29 - [게임의 모든 것/배틀그라운드] - 배틀그라운드 색감 조절하는 방법 적을 더 잘보이게! 지포스 익스피리언스



반응형